해시함수와 응용
꼭 알아야 할 것
1. 해시함수의 특징 : 일방향, 다대일 -> 충돌
2. 해시함수의 보안적 요구사항 : 역상저항성, 두번째 역상저항성, 충돌저항성
3. 해시함수의 종류 및 특징 : MD5, SHA, HAS-160
4. MAC - 키(대칭키)가 있는 해시함수
* 해시함수 특징
1) 임의 길이의 메시지로부터 고정 길이의 해시값을 계산한다.
2) 해시값을 고속으로 계산할 수 있다.
3) 일방향성을 갖는다.
4) 메시지가 다르면 해시값도 다르다.
충돌 : 2개의 다른 메시지가 같은 해시값을 갖는 것
* 보안적 요구사항
1) 역상저항성 : 주어진 임의의 출력값 y에 대해 y=h(x)를 만족하는 입력값 x를 찾는 것이 계산적으로 불가능하다.
2) 두번째 역상 저항성(=약한충돌내성) : 주어진 입력값 x에 대해 h(x)=h(x‘), x≠x‘을 만족하는 다른 입력값 x’을 찾는 것이 계산적으로 불가능하다.
3) 충돌 저항성(=강한충돌내성) : h(x)=h(x‘)을 만족하는 임의의 두 입력값 x, x’을 찾는 것이 계산적으로 불가능하다.
* 키가 없는 해시함수
1) 전용함수(새로 만드는 해시함수)
- 메시지 다이제스트(MD2-MD4-MD5) : MD5는 메시지를 512비트로 된 블록들로 나누고, 128비트 다이제스트를 출력. 128비트 다이제스트가 충돌 내성을 갖기에는 아직 길이가 너무 짧다.
- SHA : MD4해시함수의 구조를 따르고, 유사한 처리과정을 수행. MD5보다 느리지만 좀 더 안전
- HAS160 : 한국형 전자서명 표준인 KCDSA에서 개발. 충돌저항성 해시함수
2) 블록암호 기반 해시함수 – 대칭키 이용
3) 모듈연산에 기반을 둔 해시함수 – 압축 함수의 기반을 모듈 연산의 반복적인 수행에 두고 있는 해시함수
* Hash 알고리즘의 응용분야
1) 디지털 서명의 효율성 증대
2) 중요정보의 무결성 확인
3) OS의 변동 유무 체크 : H-IDS이용 ->log이용, hash이용
* MDC(Modification Detection Code)
1) 무결성 검증 2) key가 없다 3) MD5, SHA-1
* MAC(Message Authentication Code)
1) 무결성 검증 + 인증 2) key가 있다 3)HMAC, CBC-MAC
구분 |
특징 |
무결성 |
인증 |
부인방지 |
MDC |
Hash |
O |
X |
X |
MAC |
Hash+대칭키 |
O |
O |
X |
DS |
Hash+비대칭키 |
O |
O |
O |
* 해시함수 충돌 정리
구분 |
동일 용어 |
설명 |
깨는 방법 |
전자서명 |
역상저항성 |
프리이미지저항성 |
|
- |
약 일방향성 |
두번째 역상저항성 |
제2프리이미지저항성, 약한충돌내성 |
h(x)=h(x') => x? |
무차별공격(전수공격) |
강 일방향성 |
충돌저항성 |
충돌회피성, 강한 충돌내성 |
h(x)=h(x') => x,x'? |
생일공격 |
충돌회피성 |
'STUDY > (정리)정보보안기사&산업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자서명과 PKI (0) | 2017.01.10 |
---|---|
비대칭키 암호 (0) | 2016.12.30 |
대칭키 암호 (0) | 2016.12.29 |
암호학 개요 (0) | 2016.12.24 |
정보보호관리의 개념 (0) | 2016.12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