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칭키 암호
꼭 알아야 할 것
1. 대칭키 암호 역사
1) 고대 : scytale, 시저
2) 근대 : 제1,2차 세계대전, Shannon
3) 현대 : DES, 3DES, AES
2. 스트림 암호 : 동기적 - 독립적, 비동기적 - 종속적 vs 블록 암호 : Feistel, SPN
3. 블록암호의 모드 : 1) ECB 2) CBC 3) CFB 4) OFB 5) CTR
<내용 정리>
1. 현대 블록암호
* P박스와 S박스
1) P박스 : 전치 암호, 확산
구분 |
입력(n), 출력(m) |
역함수 |
비트수 |
단순(straight) |
n=m |
O |
- |
축소(compression) |
n>m |
X |
줄이고자 |
확장(expansion) |
n<m |
X |
증가시키고자 |
2) S박스 : 치환 암호, 혼돈
- 대치 암호의 축소 모형
- 입력과 출력의 개수가 달라도 됨
- 역함수 존재(입력 = 출력) or 비존재 가능
* 혼돈과 확산
1) 엔트로피 개념으로 설명(무질서도 증가 하는 방향으로 변함)
2) Shannon의 정의
3) 혼돈 : 암호문과 키 사이의 관계를 숨긴다.
4) 확산 : 암호문과 평문 사이의 관계를 숨긴다.
2. 현대 스트림 암호
구분 |
특징 |
종류 |
동기식 |
키는 평문 또는 암호문, 독립적 |
OTP, FSR, LFSR, NLFSR, OFB, RC4 |
비동기식 |
키는 평문 또는 암호문, 종속적 |
CFB |
3. DES, AES
* DES
1) 목적 : Data Encryption Standard (데이터 암호화)
2) 방식 : Substitution(S박스), Permutation(P박스)
3) 사례 : Kerberos 버전 4(대칭 암호기법에 바탕을 둔 티켓 기반 인증 Protocol)
4) Round 횟수 : 16회전
5) Crack 이유 : 짧은 key size
6) key size
- 유효 : 56 bits
- 전체 : 64 bits
7) 구조 : 확장 P박스, 키 XOR, 8개의 S박스, 단순 P박스
* Triple - DES
구분 |
암호 - 복호 - 암호 |
KEY길이 |
Round | |
KEY |
2개 |
DES - EDE2 |
112 |
48회전 |
3개 |
DES - EDE3 |
168 |
* AES
1) H/W, S/W에 구현 용이
2) 사례 : Smart card -> 데이터 암호화
3) SPN구조 -> 속도가 빨라짐(N/W 구조와 유사)
Linear Mixing layer : 안정성 높은 확산 효과(P-Box와 유사)
Non-Linear layer : S-Box의 병렬 어플리케이션
Key addition layer : 중간 상태의 라운드 키와 XOR 연산
4) AES 데이터 단위(DATA Units)
비트(bit), 바이트(byte), 워드(word), 블록(block), 스테이트(state) => 5가지 단위 사용 계산
5) 라운드 마다 키크기가 다르다
10(라운드) - 128(키), 12(라운드) - 192(키), 14(라운드) - 256(키)
<비교>
구분 |
DES |
Triple DES |
AES |
평문 블록 크기(bits) |
64 |
64 |
128 |
암호문 블록 크기(bits) |
64 |
64 |
128 |
키 크기(bits) |
56 |
112 또는 168 |
128, 192 또는 256 |
4. 블록 암호의 모드
구분 |
ECB |
CBC |
CFB |
OFB |
CTR |
병렬처리 |
가능(암,복) |
가능(복) |
가능(복) |
X |
가능(암,복) |
초기화벡터 (난수) |
X |
O |
O |
O |
O |
특징 |
* 간단 * 패턴반복 * 재전송공격가능 |
* 암호문 블록이 파손되면 2개 평문 블록 영향 * 암호문 블록에서 비트 누락 -> 평문 전체 영향 |
* 재전송 공격 가능 |
|
* 카운터 이용 (비트+블록번호) |
패딩 |
O |
O |
X |
X |
X |
Type of Result |
Block |
Block |
Stream |
Stream |
Stream |
'STUDY > (정리)정보보안기사&산업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자서명과 PKI (0) | 2017.01.10 |
---|---|
해시함수와 응용 (0) | 2017.01.05 |
비대칭키 암호 (0) | 2016.12.30 |
암호학 개요 (0) | 2016.12.24 |
정보보호관리의 개념 (0) | 2016.12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