비대칭키 암호
꼭 알아야 할 것
1. 대칭키 vs 비대칭키
* 대칭키 단점 : 키 배송문제 -> 비대칭키 기법이 해결
2. 키배송 문제 해결 : 사전공유, KDC, D-H, 공개키
3. 공개키 알고리즘 상세 내용 : D-H, RSA
4. 수학적 원리 : 소인수분해 - RSA, Rabin, 이산대수 문제 - DH, ElGamal
* 비대칭키 암호시스템
<알고리즘에 따른 분류>
1) 인수분해 : RSA, Rabin
2) 이산대수 : Diffie - Hellman, ElGamal, DSA
3) 타원곡선상의 이진대수 : ECC
<목적과 보안서비스>
1) 목적 : 대칭키 교환 목적
2) 키 : n(n-1)/2 - 대칭키, 2n - 비대칭키
3) 보안서비스 : 기밀성, 인증, 부인방지
* 공개키 사용원칙
1) 암호화키와 복호화키는 같은 사람의 키쌍이여야 한다.
2) 키는 암-복호화 중 한번만 사용해야 한다.
3) 타인의 개인키는 사용할 수 없다.
* 대칭키 vs 비대칭키
- 대칭키 : 기호를 대체하거나 치환하는 것. 비밀키 : 기호열(비트열)
- 비대칭키 : 숫자를 다른 숫자로 변환하는 것, 개인키 : 하나의 숫자 or 둘 이상의 숫자
-> 대칭키와 비대칭키는 상호보완적 관계
항목 |
대칭키 |
공개키 |
키의 상호관계 |
암호화키 = 복호화키 |
암호화키 ≠ 복호화키 |
안전한 키길이 |
128비트 이상 |
2048비트 이상 |
암호화키 |
비밀 |
공개 |
복호화키 |
비밀 |
비밀 |
비밀키 전송 |
필요 |
불필요 |
키 개수 |
n(n-1)/2 |
2n |
암호화 속소 |
고속 |
저속 |
경제성 |
높다 |
낮다 |
제공 서비스 |
기밀성 |
기밀성, 부인방지, 인증 |
목적 |
데이터(파일)암호화 |
대칭키 교환 |
전자서명 |
복잡 |
간단 |
단점 |
키교환 원리가 없다 |
중간자 공격에 취약 |
해당 알고리즘 |
DES, 3DES, AES, IDEA |
RSA, ECC, DSA |
* 키 배송문제 해결
- 키의 사전 공유에 의한 해결 : 키 관리기관(TA)가 사전에 임의의 두 사용자에게 비밀경로를 통하여 임의 키를 선택하여 전달하는 방법
- 키배포 센터에 의한 해결(온라인 키 분배) : 암호통신이 필요해질 때마다 통신용 키를 키배포센터(KDC)라는 신뢰받는 제 3자에 의뢰해서 개인과 키배포센터 사이에서만 키를 사전에 공유하는 것
- Diffie - Hellman 키 교환에 의한 해결 : KDC없이 대칭 세션키를 생성한다. 키 교환(키 합의) : 공유할 키를 계산해서 만들어 내는 것 약점 : 이산대수 공격, 중간자 공격->국-대-국 프로토콜(STS)로 해결가능
- 공개키 암호에 의한 해결 : RSA, ECC, ElGamal, Rabin
구분 |
특징 | ||
키의 사전 공유에 의한 해결 |
TA(Trusted Authority)이용 가능, n(n-1)/2 | ||
KDC에 의한 해결 |
온라인 키분배(세션키), 커버로스, Needham-schroeder 프로토콜 | ||
DH 키교환에 의한 해결 |
공개키의 효시, 이산대수 문제, 키교환(키합의), 중간자공격가능 ->국대국 protocol로 해결 | ||
공개키 암호에 의한 해결 |
RSA |
소인수분해 |
키생성/암,복호화 이해(계산), OAEP, p,q 조건 |
ECC |
타원곡선상 이산대수문제 |
160비트 ECC = 1024비트 RSA, 빠르다, (자원)효율적 -> 스마트카드, 무선 | |
ElGamal |
이산대수 |
암호문이 평문의 2배, RSA 활용과 비슷 | |
Rabin |
소인수분해 |
이차잉여류, RSA와 유사 |
* 하이브리드 암호시스템
- 대칭키 암호로 속도를 높이고 공개키 암호로 세션키를 보호한다.
- 암호기술 : 의사난수 생성기, 대칭키 암호, 공개키 암호
- 특징 : 메시지는 대칭키 암호로 암호화
대칭키 암호의 암호화에서 사용한 세션키는 의사난수생성기로 생성
세션키는 공개키 암호로 암호화
'STUDY > (정리)정보보안기사&산업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자서명과 PKI (0) | 2017.01.10 |
---|---|
해시함수와 응용 (0) | 2017.01.05 |
대칭키 암호 (0) | 2016.12.29 |
암호학 개요 (0) | 2016.12.24 |
정보보호관리의 개념 (0) | 2016.12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