※ Cisco Packet Tracer를 이용해서 실습했습니다.
Serial Interface
- WAN구간을 연결시 사용되는 Interface이며 Ethernet과는 달리 Layer 2 Protocol 및 전송속도, 대역폭을 지정해줘야합니다.
라우터 1과 라우터 2를 연결해보자면
R1 [DTE]
R1(config)# interface serial 1/0
R1(config-if)# no shutdown : Layer 1 활성화 상태로 전환
R1(config-if)# encapsulation hdlc : Layer 2 Protocol지정(Cisco Router의 Serial은 기본적으로 HDLC로 동작을 실시)
R1(config-if)# bandwidth 64 : 대역폭 지정[단위 : Kbps]
R1(config-if)# ip address 192.168.12.1 255.255.0 : Layer 3 주소 할당
R2 [DCE]
R2(config)# interface serial 1/0
R2(config-if)# no shutdown : Layer 1 활성화 상태로 전환
R2(config-if)# encapsulation hdlc : Layer 2 Protocol지정(Cisco Router의 Serial은 기본적으로 HDLC로 동작을 실시)
R2(config-if)# bandwidth 64 : 대역폭 지정[단위 : Kbps]
R2(config-if)# clock rate 64000 : 대역폭에 따른 전송속도 지정[단위 : bps]
R2(config-if)# ip address 192.168.23.2 255.255.255.0 : Layer 3 주소 할당
R1과 R2가 연결되어있는지 확인하려면 Show ip interface brief 명령어를 이용한다.
show ip interface brief
interface IP-Address OK? Method Status Protocol
Serial1/0 unassigned YES unset administratively down down : 해당 장비의 interface가 Shutdown상태
Serial1/1 unassigned YES unset down down : 연결된 장비의 Interface상태가 Shutdown 상태
Serial1/2 unassigned YES unset up down : Encapsulation type이 다르거나 Clock값이 없는 경우
Serial1/3 unassigned YES unset up up : Layer1, Lyer2 활성화 상태
만약 up,up일때 연결이 안된다면, ip주소를 확인해 볼 것
'SECURITY > Network 실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tatic Route (0) | 2017.03.10 |
---|---|
Loopback Interface (0) | 2017.03.10 |
Ethernet Interface (0) | 2017.03.09 |
라우터 패스워드 실습 (0) | 2017.03.09 |
Wireshark - ICMP 실습 (0) | 2017.03.06 |